본문 바로가기
결혼이야기

남자 결혼비용 자금 항목

by 대지꿀꿀 2020. 4.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크리스'입니다.


오늘은 남자 결혼비용 항목에 대해서 알아볼까 하는데요.


결혼을 준비하는 수많은 예비 신랑, 신부님들 할일이 정말 많죠?

저도 죽는줄 알았습니다. 어찌나 할일이 많던지 한주한주가 정말 빨리 지나갔던 것 같아요. (힘내세요!)





네 맞습니다. 저도 결혼을 한 남자입니다. 흐흐! 


이제 신혼 2년차를 맞이한 남정네인데요. 결혼을 준비할때 들었던 내역을 정리하면서 오늘은 남자 결혼비용 항목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아래는 흔히 인터넷에 많이 공유되는 남자 결혼비용 항목입니다. 신혼집 마련, 신용여행 비용등이 있네요. 



그럼 저의 입장에서 남자 결혼 비용 항목 알아보도록 해요. 


물론 저의 커플은 그냥 돈을 한방에 한명의 통장에 합쳐서 사용을 해서, 누가 얼마나 썼는지는 모르겠어요.

하지만 그래도 어떤 부분을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죠.


아래는 2019년 신혼부부 결혼 비용 실태보고서입니다. 듀오웨드 자료이구요.

대략 남자 결혼자금이 대략 1.8억 정도 드네요. 정말 많이 듭니다. (하지만 우린 돈이 없거든..남자 결혼자금이 억단위입니다. 억억 거리네요.)




남자 결혼비용 항목 1. 집 (자가냐, 전세냐, 월세냐 그것이 문제로다.)


집이 사실 제일큽니다. 남자 결혼자금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녀석이기도 하구요.



일단 집을 사느냐, 남의 집에 들어가느냐로 구분이 되는데요. 

전세냐 월세냐로도 구분이 되겠죠. 



개인적으로 저희는 무리해서 집을 샀습니다. 지방이라서 아파트 가격이 비싸지 않았던 점도 있구요. 신도시 쪽 아파트가 입주당시 가격이 분양금보다 떨어진 상태이기도 해서 그냥 사버렸습니다.


일단 남자측에서 가장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도 하고, 제일 중요한 부분이기도합니다.


왜 남자라는 동물이 집을 준비해가야하는지는 아직도 이해를 못하겠지만, 사회적 통념상 그래야 하니 저도 그랬습니다. 딸을 내어주시는 미래의 장모님, 장인어른에게 죄송하기도 했고해서 무리해서 샀습니다. 


저희는 3.5억 가량의 집을 샀구요. 제가 1.2억, 동거인님이 5천만원을 내셨고 1.8억은 대출을 했습니다. 그래서 아직도 갚아야할 대출이 많습니다.



네 맞아요. 서울이나 수도권은 3.5억을 집을 못삽니다. 그래서 전세로 대부분 가시죠. 전세도 전세자금 대출이 있으니깐, 일정 금액 부분만 준비가 되면 집을 구하는데는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저희는 입주하지 못한 아파트의 분양권을 샀기 때문에 분양권 계약금, 매도자에게 잔금을 치르고, 대출을 승계받고, 국민기금 융자도 받았습니다. 그 뒤 아파트 담보대출로 전환하고 나머지 금액은 현금으로 냈습니다. 추가적으로 등기비도 들었구요. 재산세도 냈구요. 선수관리비, 관리비 정산도 한방에 해결했습니다. 


3.5억 아파트를 사는데 있어 등기비랑 선수관리비, 재산세등 합치면 약 1000만원이 더듭니다. 이 부분도 준비하세요. 인테리어 추가하면 더 들어요;;


남자 결혼비용 항목 2. 결혼 반지 & 명품 가방


결혼을 할려면 결혼 반지를 준비해야겠죠. 커플에 따라 케바케이긴 합니다.

과거에는 시어머님과 예비 며느리가 함께 가서 신부님의 예물을 고르거나 시어머님의 픽을 통해서 예물이 결정이 되었구요. 요즘은 대부분 예비부부가 고릅니다. 



그래서 예물은 신랑님과 신부님과 서로 주고 받습니다.


예물은 본인들이 가지고 싶었던 물건을 사는데요. 대부분 가방이나 시계입니다. 저희 어머니께서도 일부분 돈을 내주셨고, 모자란 돈은 제가 냈습니다. (시어머니 입장에서 100%아니 150% 내는경우도 있습니다.)


동거인은 반지는 다이아반지를 하지 않고, 데일리 반지로 결정했구요.

명품가방 하나 사더라구요. 반대로 저는 시계를 살까 하다가 워낙 시계를 안차는 성격이라 그냥 결혼반지만 하고 말았습니다.



그러니 장모님께서 사고싶은거 사라고 현금다발을 주셔서, 컴퓨터(?)를 조용히 샀습니다. 

하지만 대게 남자는 시계를 많이 삽니다. 명품 시계로 말이죠. 저는 시계대신 명품 컴퓨터로 대체하였습니다. 


남자 결혼비용 항목 3. 예식장, 예복, 기타등등


네 사실 남자는 집을 구하고, 예물 정하면 남자만 돈내는 부분은 없어요.

대부분 같이 냅니다. 예식장의 경우 계약금만 걸면, 결혼식장 당일날 축의금으로 양가부모님이 반반 내시구요(식비는 따로 정산). 



예복도 어짜피 같이 하니깐 결국 상대방 것을 사주게 됩니다. 웨딩드레스, 턱시도는 장모님이 내시구요.



또한 결혼식에 찾아오는 친지, 친구들의 피로연에 비용도 각자 계산을 합니다. 신혼여행도 어짜피 1/2로 나눠서 내구요. 놀러가서 쓰는 비용은 제돈으로 다한것 같네요.


어짜피 신혼여행 가면 부부라서 공동 재산이니 의미없구요. 


그래서 딱히 더 생각나는 건 없네요.

아차, 신혼여행갈때 열심히 동거인님께서 제 카드로 면세품 열심히 사셨더라구요. 끝내 받아내지 못했습니다. 



이상 남자 결혼 비용 항목 알아보았어요.

결혼 준비 잘하세요. 

반응형

'결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현숙 이혼 남편  (0) 2020.12.09
결혼준비 체크리스트 엑셀  (2) 2020.04.19

댓글